청년버팀목전세대출 조건 한도 금리 연장 신청 총정리
|

청년버팀목전세대출 조건 한도 금리 연장 신청 총정리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은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 세대주에게 전세보증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을 받으려면 몇 살부터 가능하며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 등 전세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연장, 신청 및 신청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

1. 조건



청년버팀목전세대출(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자격 조건은 전세 자금이 부족한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 무 주택 청년 세대주를 위한 대출 제도입니다. 대출 대상 주택은 임차 전용 면적 85㎡ 이하의 주택과 주거용 오피스텔이며, 만 25세 미만의 단독 세대주는 60㎡ 이하의 주택에 한합니다. 임차 보증금은 3억 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부부의 합산 금액이 연 소득은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은 3억 4,5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특정 경우에는 소득 기준이 완화됩니다. 예를 들어, 혁신 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직원이나 재개발 지역의 세입자, 다 자녀 가구(3자녀 이상) 및 2자녀 가구는 소득 기준이 6천만 원 이하로, 신혼 가구는 7천5백만 원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2. 기간

청년버팀목전세대출 기간은 기본적으로 2년이며, 최대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하여 총 10년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자녀 수에 따라 추가 연장이 가능합니다. 즉, 미성년 자녀 1명당 2년을 더 연장할 수 있으므로 최대 20년까지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 한도



청년 전세대출 한도는 2억 원 이하가 최대이며, 전세 금액의 80% 이내에서 가능합니다. 만약 신청자가 만 25세 미만의 단독세대주이면 대출 한도가 1억 5천만 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참고로 1년 미만 재직자의 대출 한도는 2천만원 이하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 금리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의 금리는 연소득에 따라 연 1.8%에서 연 2.7%로 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또한 금리 우대는 2가지로, 중복 적용이 불가한 것과 가능한 것으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 중복 적용이 안되는 금리 우대 조건에는 연소득 4천만 원 이하의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으로 1.0% 우대 받습니다. 또한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의 한부모 가구도 동일하게 1.0% 혜택을 받습니다. 노인 부양 가구, 장애인 가구, 고령자 가구, 다문화 가구는 0.2%의 금리 우대 혜택이 있습니다.


두 번째, 중복 적용이 가능하여 추가우대금리를 받는 경우입니다.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자는 0.1%, 주거안정 월세대출 성실납부자는 0.2%, 청년가구 및 중소기업 취업 및 창업 청년, 다자녀 가구는 0.3% 추가 우대 받습니다. 우대금리를 적용시킨 후 최종 금리가 연1.0% 미만이 되면 1.0%로 조정되어 적용됩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 신청



1. 신청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을 신청할 경우 임대차계약서의 잔금 지급일이나 주민등록등본의 전입일 중 더 빠른 날짜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계약 갱신의 경우는 계약 갱신일(월세 → 전세로 전환하면 ‘전환일’)로 부터 3개월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


2. 신청방법



청년전세대출제도인 청년버팀목전세대출 신청방법은 온라인 또는 은행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사이트는 ‘주택도시기금 기금e든든’입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신청 절차대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직접 은행을 방문할 때는 해당 업무를 취급하는 곳에 가야 합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 신청이 가능한 은행은 기금 수탁은행인 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NH농협, 하나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입니다.


이렇게 하여 청년버팀목전세대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출이 마냥 좋은 것은 아니지만, 자금이 부족한 분들에게는 정부 지원 정책을 잘 활용하면 도움 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제도에 대한 자격 조건, 한도, 금리, 연장, 신청 등에 대한 내용이 도움 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