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세린 사용법 효과 꿀팁 부작용 알고 사용하기
바세린 사용법 효과 꿀팁 부작용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바세린의 원료는 놀랍게도 식물이나 동물이 아닌 석유입니다. 석유를 정제하고 추출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당시 석유를 추출했던 인부들이 피부가 갈라지거나 상처가 났을 때 바른 것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인부들이 석유에서 나온 찌꺼기를 피부에 바르는 것을 본 로버트 체스브러라는 사람이 석유에서 추출한 페트롤리움 젤리를 주성분으로 바셀린을 1878년 5월 14일에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셀린의 역사는 150년이 다 되어가고 있습니다. 바셀린과 바세린 용어에 대해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둘 다 맞다고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 바세린 올바른 사용법


바세린은 그 사용법을 알 수 있도록 바세린 통에 “skin protectant”라고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skin protectant”는 피부 보호제라는 뜻입니다. 바세린에 대해 많이 우려하는 부분이 발암물질입니다. 바셀린에는 일반적인 발암물질로 알려진 자동차 매연이나 고기가 탄 부분에 발생하는 발암물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바셀린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3번 정제 과정을 거쳐 발암물질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정제 과정을 거처 발암물질을 제거하고 100% 피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되었습니다. 바세린 사용법은 아주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부분입니다.
1.1 오염 주의
바세린은 보통 손으로 떠서 사용하게 됩니다. 그럴 경우 오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세린을 사용할 때는 오염을 방지를 위해 면봉이나 위생장갑으로 떠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라면 더더욱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1.2 씻은 후 사용
바세린을 바를 때는 반드시 깨끗이 씻은 후 사용해야 합니다. 씻지 않은 상태에서 바르게 되면 피부에 남아 있는 이물질까지 함께 코팅이 되게 됩니다. 그럴 경우 피부에 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바세린을 바를 때는 많이 바른다고 보습이 좋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세린을 바를 때는 가능한 최대한 얇게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1.3 상처 주의
바세린을 상처 부위에 바르는 경우도 있는데, 바셀린 용도 자체는 수분 보호가 주 목적입니다. 상처에는 상처에 맞는 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중 약국에는 상처에 따른 약들이 아주 많이 있습니다. 바셀린과 약은 용도와 성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길입니다.
1.4 바세린 유통기한
바세린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36개월입니다. 제조일을 확인한 후 36개월인 3년이 지났다면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바세린은 다른 용도로 활용해도 좋습니다. 바세린 활용도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 참고할 수 있습니다.
2. 바세린 효과


2.1 피부 보습효과
바세린 성분은 기름으로 물과 섞이지 않습니다. 바세린을 피부에 바르면 피부가 코팅이 되면서 보습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보습효과라고 한다면 피부에 수분을 넣어주는 것과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을 말하는데, 바셀린은 피부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코팅 역할을 합니다. 수분이 날라가는 것을 바셀린이 막아주므로 피부 잔 주름같은 경우 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마치 말린 나물을 물에 담가두었을 때 탱탱하게 펴지는 것처럼 피부 잔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눈꺼풀이나 눈가에 살짝 진 잔주름 같은 경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건조하고 추워서 피부의 수분을 쉽게 빼앗기게 됩니다. 이때 바세린을 바르게 되면 피부를 코팅해서 수분이 날아가는 것을 막아주게 됩니다. 바셀린은 발 뒷ㄱ꿈치가 텄거나 갈라질 때 발라주면 보습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잠자기 전에 바셀린을 뒤꿈치에 발라주고 자는 동안 보습이 잘될 수 있도록 수면 양말이나 양말을 신고 자면 됩니다. 아침에 일어나 깨끗이 씻어내면 탄력적인 발뒤꿈치가 됩니다.
2.2 피부 트러블 방지
겨울철에 비염이나 감기로 고생하게 되면 콧물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이때 화장지로 여러 번 반복적으로 코를 풀게 되면 코 끝이 헐게 됩니다. 코가 헐게 되면 아프기도 하지만 외관상 좋지 못합니다. 따라서 코를 자주 풀어야 한다면 코를 풀기 전에 살짝 마찰이 있는 코 부위에 바세린을 바른 다음 풀어주면 허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줍니다. 코에 바를 때는 살짝 가볍게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듬뿍 많이 바르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3 피부 마찰 방지
바세린은 피부 마찰이 있는 곳이나 피부가 외부와 접촉이 되는 부분에 발라주면 피부를 보호해 주는 제2의 피부 장벽이 됩니다. 그래서 손에 바르게 되면 손이 탱탱해지고 트지 않습니다. 그리고 피부 마찰이 생기는 사타구니나 겨드랑이에 바세린을 바르는 것도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신발을 신거나 구두를 신었을 때 물집이 잘 잡힌다면 양말을 신기 전 바셀린을 발라주면 효과가 있습니다.
2.4 립밤 역할
겨울에는 입술이 잘 트거나 입술에 각질이 생기게 됩니다. 손으로 이것을 뜯으면 상처가 생기게 되고 쓰라려서 고생합니다. 이럴 때는 각질을 뜯지 말고 바셀린을 바르면 좋습니다. 바세린이 입술의 수분이 날아가는 것을 막아 입술 각질이 생기지 않게 해줍니다. 낮에 입술에 바르기가 어렵다면 잠자기 전에 살짝 입술에 발라주고 자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입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살짝만 입술에 발라주도록 합니다.
3. 바세린 바르는 꿀팁
바세린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바세린만 바른다고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바세린 바르는 꿀팁을 알아보겠습니다.
3.1 보습제 사용
세안을 한 후 보습제로 로션이나 수분크림, 아이크림 등을 바르고 바세린을 바르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바세린의 특징이 수분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보습제를 통해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고 사용하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바세린을 보습제와 바를 때는 썩어서 발라도 되고 단독으로 발라도 됩니다.
만일 보습제와 섞어서 바른다면 보습제 3, 바세린 1의 비율로 바르는 게 좋습니다. 무조건 바세린을 두껍게 바른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바세린 바르는 꿀팁으로 바세린 자체가 끈적함과 꾸덕꾸덕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느낌이 싫을 때는 바세린을 바른 뒤 물을 씻어내주면 됩니다. 물로 바세린을 씻어내더라도 피부에 남아 있기 때문에 피부는 부드러워지고 보습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2 바세린 팩 만들기
- 바세린 1 티스푼 / 계란 노른자 / 식초 1/2 티스푼
바세린 + 계란노른자 + 식초를 혼합해서 바세린 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를 혼합해 만든 바세린 팩은 피부가 생동감 있고 탱탱해지며 탄력이 있어 효과를 볼 있습니다. 혼합 비율은 바세린 1티스푼, 계란 노른자, 식초 1/2 티스푼을 잘 섞어서 얼굴에 바르면 보습과 미백에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바셀린 팩을 사용할 때는 피부에 그냥 발라도 되지만 나중에 닦아낼 때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올리고 그 위에 혼합한 것을 발라주면 간편하게 씻기도 편합니다.
4. 바셀린 부작용
바세린은 누구에게나 사용을 권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누가, 언제, 어떻게 바르는지에 대해 좋을 수도 있고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피부가 얇고 건조하고 피지 분비가 많이 없는 경우 바세린이 잘 맞습니다. 그런데 평소에 피지 분비가 많고 기름진 피부이고 트러블이 잘 난다면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 오히려 심한 경우 여드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피부에 여드름이 생기시는 분들도 주의해야 합니다.
코에 많이 발라서 코 안으로 들어가거나 입술에 많이 발라서 삼키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체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혹여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바세린 사용법 효과 꿀팁 부작용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