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간 탄도미사일 원리, 거리, 고도, 위력, 속도, 보유국, 발사 시간
대륙간 탄도미사일은 대륙에서 다른 대륙으로 공격할 수 있는 무기로, 어떤 탄두를 장착하느냐에 따라 위력이 달라집니다. 이 시간에는 대륙간 탄도미사일 원리, 거리, 고도, 위력, 속도, 보유국, 보유량, 발사 시간, 이동 수단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대륙간 탄도미사일 원리
ICBM의 약어는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로,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까지 비행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이라는 뜻입니다.
1.1 원리
ICBM은 발사 후 대기권을 넘어 고도 약 1,000㎞ 이상으로 비행한 후, 목표를 향해 정확하게 비행할 수 있습니다. GPS, 관성 항법, 레이더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미사일의 비행 경로를 조정합니다.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목표를 향해 낙하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때의 속도와 각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재진입 시 미사일은 고온과 압력에 견딜 수 있게 설계가 되어 있으며, 정확히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습니다.
1.2 작동 방식
ICBM은 고체 추진제를 사용합니다. 고체 추진제는 액체 추진제보다 저장과 취급이 용이하며, 발사 전 준비 과정에서의 위험이 적습니다.
ICBM은 대기권을 넘어간 후, 중력에 의해 포물선 형태로 하강합니다. 이 비행 경로는 예측 가능하지만, 고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탐지 및 요격이 어려워집니다.
2. 대륙간 탄도미사일 특성

2.1 거리와 범위
ICBM은 최소 5,500㎞ 이상의 사정거리를 자랑합니다. 일부 모델은 그 범위를 10,000㎞를 넘기기도 하여, 대륙 간의 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러한 능력 덕분에 전 세계의 주요 도시를 타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2 고도와 속도
이 미사일은 발사 후 대기권을 넘어 약 1,000㎞ 이상의 고도로 비행합니다. 높은 비행 고도는 대기권 재진입 시 안전성을 높여주며, 적의 방어 시스템을 피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속도 또한 상당히 빠르며, 약 24,000㎞/h에 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도는 미사일의 탐지 및 요격을 어렵게 만들어 전략적 우위를 제공합니다.
2.3 위력
ICBM은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어 메가톤급의 위력을 자랑합니다. 이는 대도시를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파괴력을 의미하며, 전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높입니다. 핵탄두의 위력은 일반적으로 1메가톤에서 10메가톤 이상에 이르며, 수백만 명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 히로시마 원폭: 약 15킬로톤 (0.015메가톤)
- ICBM 핵탄두: 1메가톤에서 10메가톤 이상
따라서, ICBM의 핵탄두가 1메가톤일 경우, 히로시마 원폭의 약 67배(1,000킬로톤 / 15킬로톤) 강력하며, 10메가톤일 경우에는 약 667배(10,000킬로톤 / 15킬로톤) 강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4 레이더 탐지 여부
ICBM은 발사 후 대기권을 넘어 비행하는 동안 레이더 탐지에 대한 저항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현대의 ICBM은 여러 가지 기술을 활용하여 탐지를 회피합니다. 예를 들어,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ICBM은 발사 준비 시간이 짧고, 발사 후 빠른 속도로 비행하여 적의 탐지 시스템에 포착되기 어렵습니다. 또한, ICBM은 대기권을 넘어 고도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지상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범위를 벗어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적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회피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5 발사 시간
ICBM의 발사 준비 시간은 사용하는 추진제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고체 추진제를 채택한 경우, 발사 준비가 수십 초에서 몇 분 이내에 완료될 수 있습니다. 반면,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준비 과정이 몇 시간에서 하루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2.6 이동 수단
ICBM은 다양한 이동 수단을 통해 발사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차량이나 기차를 이용하면 적의 탐지를 피할 수 있어 선제 공격에 대한 생존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최근에는 이동식 발사대(TEL)를 활용하여 기동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사대는 다양한 지형에서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전술적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3. 대륙간 탄도미사일 보유국 및 보유량

3.1 ICBM 보유국
현재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등 다섯 나라입니다. 이들 국가는 각자의 군사적 필요에 따라 ICBM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3.2 ICBM 보유량
- 미국: 약 800여 발
- 러시아: 약 800여 발
- 중국: 약 500여 발
- 프랑스: 약 300여 발
- 영국: 약 200여 발
북한은 2024년 11월 5일에 ICBM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4. 한국 북한 ICBM 보유 현황
4.1 한국 ICBM 보유 현황
한국은 공식적으로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중거리 및 단거리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통해 방어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군사적 자립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4.2 북한의 ICBM 보유량
북한은 현재 약 50여 발의 ICBM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신형 미사일인 화성-18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성-18형은 북한의 최신형 ICBM으로,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미사일은 미국 전역을 겨냥할 수 있는 사거리를 확보하고 있으며, 고체 연료를 사용하여 발사 준비 시간이 짧고 빠른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북한과 미국 본토 간 거리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은 최대 5,000㎞ 이상의 사거리입니다. 이 미사일이 정상 각도로 발사될 경우, 미국 본토의 주요 도시들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주요 도시와의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워싱턴 D.C.: 약 10,000㎞
- 뉴욕: 약 10,000㎞
- 로스앤젤레스: 약 9,000㎞
- 시카고: 약 8,000㎞
이러한 거리들은 북한의 ICBM이 미국 전역의 거의 모든 지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