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차량 예열과 공회전 히터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엔진브레이크 사용법
|

겨울철 차량 예열과 공회전 히터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엔진브레이크 사용법

겨울철 차량 예열과 공회전 히터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엔진브레이크 사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실제 운전 경험을 통해 체험한 내용과 사고처리 등을 통해 알게 된 내용들입니다. 겨울철 차량 예열과 공회전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에 차에 시동을 걸고 5분이나 10분 정도 예열한다고 공회전을 걸어 놓습니다. 어느 정도 예열을 해야 엔진이나 자동차의 전체적인 작동 상태가 좋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2,000년도 전에 생산된 차량은 기화기(카뷰레터) 방식으로 5분 ~ 10분 정도 예열이 반드시 필요했습니다. 기화기 방식은 엔진이 어느 정도 열을 받아야 정상 출력을 낼 수 있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2,000년도 이후에 생산된 차량은 전자연료공급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전자연료공급방식은 공기와 연료의 이상적인 비율을 자동적으로 판단해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므로 계절에 상관없이 예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자동차 생산 업체에 따라 몇 초간의 예열이 필요하다고는 명시하고 있지만 1분 이상은 아닙니다.


현대기아 자동차 매뉴얼에 보면 엔진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 공회전을 하지 말 것을 명시했고 처음 주행할 때는 엔진이 적정 한 온도가 될 때까지 적당한 속도로 주행하되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하지 말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디젤 차량의 경우에도 시동 후 가속 페달을 밟지 말라고 알려주고 있고 엔진이 차가운 경우 몇 초간 공회전을 시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회전은 1분 이상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벤츠와 BMW 자동차 업체의 차량에 대한 매뉴얼에도 보면 차량 정지 상태에서 엔진을 예열하지 말 것을 기재해 놓았습니다. 따라서 국내나 해외 자동차 회사의 예열과 공회전에 대한 내용은 모두 동일하게 할 필요가 없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만일 정지된 상태에서 5분이나 10분씩 자동차에 시동을 걸어 놓는 것은 아까운 기름만 낭비하는 것입니다. 시동을 걸고 단 몇 초 후 바로 운전해도 상관없으며 처음 출발할 때는 엔진뿐만 아니라 타이어, 쇽업쇼버 내부 오일 등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서행으로 출발하는 것이 좋으며 돌발 상황이 아닌 이상 급가속이나 급감속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추운 겨울에 히터는 연비와 상관없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히터를 작동한다고 해서 기름이 소비되지는 않습니다. 히터는 냉각수의 열을 이용해서 따뜻한 바람이 나오게 하는 원리입니다. 그런데 겨울에 너무 추운 나머지 자동차 시동을 걸자마자 바로 히터를 틀어 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히터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참고로 자동차 계기판에 있는 냉각수 온도계가 거의 중간 지점에 오면 그때 히터를 틀어야 따뜻한 바람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차에 타자마자 바로 히터를 틀지 않도록 합니다.


겨울철 가장 위험한 블랙 아이스입니다. 블랙아이스는 도로 위에 아주 얇은 얼음막이 형성된 것을 말하는데, 밤에는 라이트를 켜고 가기 때문에 살짝 얼어 있는 부분은 불빛을 통해 반짝거리는 것을 볼 수도 있지만 낮 시간에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전날 비가 온 뒤 새벽에 추워져 아침에 도로가 얼어있었지만 보지 못한 경우, 비는 오지 않았지만 간밤에 내린 이슬이 얼어서 생기게 된 경우, 도로에 햇빛이 들어오지 않아 얼어있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블랙아이스로 가장 미끄러지기 쉬운 곳이며 가장 주의해야 할 장소들에 대해 실지 경험을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3.1 터널 입출구

터널 입출구를 조심해야 합니다. 터널 들어가는 입구와 나오는 출구를 조심해야 합니다. 보통 터널은 산을 뚫어 만들기 때문에 바람이 많이 불고 햇볕이 들지 않아 얼어 있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고 터널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로 인해 입구나 출구가 얼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행 중에는 터널 입출구에 블랙아이스가 절대 보이지 않습니다. 블랙아이스로 인해 터널 입구와 출구에서 사고가 많이 나지만 특히 터널 입구를 진입하고 괜찮다고 생각하여 달리다 터널 출구에서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앞 차가 사고가 나 있다면 미처 보지 못하다가 후속 사고가 나는 경우도 있으니 터널 출구를 나올 때 주의해야 합니다.


3.2 교차로

아침 출근길에 교차로를 통과해 좌회전이나 우회전할 때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정지선에 멈추었다가 출발하면 영향을 덜 받지만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 교차로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여 통과할 때 블랙아이스로 인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반드시 교차로 앞에서는 미리 속도를 줄여 천천히 통과해야 합니다. 교차로에 들어가서 바로 속도를 줄이면 미끄러지므로 그전에 속도를 미리 줄이고 천천히 통과해야 합니다


교차로 중에서 가장 위험한 곳은 고가 다리 밑에 있는 교차로, 교차로 아래로 지하철이나 지하상가가 있는 곳입니다. 이곳은 아침뿐만 아니라 날씨가 추운 오후에도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지하철이나 지하상가가 있는 교차로는 지하에서 올라온 열기로 인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노면이 얼았다 녹았다를 반복합니다. 특히 차체가 가벼운 1톤 트럭의 경우 물건이 실려 있지 않은 상태라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그리고 승합차로는 스타렉스와 스타릭스 차체가 가볍기 때문에 교차로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주의해야 합니다. 교차로 통과는 눈이 온 후에 조심해야 하는 것이 아닌 날씨가 춥거나 일교차가 심한 아침과 오후 5시 이후에는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지하철과 지하상가가 있는 교차로는 주의해야 합니다.


3.3 교량(다리)

교량(다리)의 경우 주의해야 하는 곳은 교량의 끝 지점입니다. 다시 말해 땅의 지면과 교량이 연결된 부위를 조심해야 합니다. 겨울철에 지면과 교량이 만나는 부분이 온도차로 인해 얼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교량은 지면에서 뜬 상태에서 설치가 되어 바람이 불거나 날씨가 추워지면 블랙아이스가 생깁니다. 따라서 교량을 통과하거나 빠져날 올 때 교량 처음과 끝부분이 살짝 얼어있기 때문에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특히 교량의 내리막길을 조심해야 합니다.


겨울철에는 햇볕이 들지 않는 고속도로나 일반 도로는 미리 확인하고 주행 중에 잘 주시해서 미리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급박하게 미끄럼을 감지하고 차량의 속도를 줄일 때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량이 미끄러질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수동 차량의 경우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방법은 저단으로 기어를 변속하면 됩니다. 그럼 엔진이 윙하고 소리가 나면서 속도가 주는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만일 5단으로 주행 중 블랙아이스를 감지했다면 4단 or 3단으로 기어를 변속해 주면 됩니다. 빙판길에서 풋브레이크를 길게 밟게 되면 미끄러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동의 경우 기아를 아래 단계로 변속해 엔진브레이크를 걸어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풋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평상시처럼 블랙아이스에서 차를 멈추기 위해 풋브레이크를 밟았다가는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해야 합니다.


오토의 경우 차량마다 다르지만 주행은 동일하게 D(드라이브)로 합니다. 스틱봉이 있는 변속기의 표기가 차량마다 다른데, 2010년 이전에 생산된 차량에는 대부분 P, R, N, D, 2, L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그 이후 생산된 차량은 P, R, N, D, +, -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외에 조금씩 다르게 표기된 것도 있지만 결국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차량에 따라 +와 – 위치가 스틱봉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있거나 버튼식은 핸들에 있습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려면 +와 -의 의미를 알아야 합니다.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더 올리고 싶다면 +, 내리고 싶다면 -로 변속하면 됩니다. 차량에 따라 변속기 단수는 1단부터 4단에서 10단까지 있습니다. 오토 차량의 경우 평상시 운전할 때 스틱봉을 D로 맞춰 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기어가 자동 변속되어 운행됩니다. 말 그대로 오토이기 때문에 1단부터 단수가 자동으로 변속됩니다. 만일 수동으로 운전하고 싶다면 +나 -를 사용해서 운전하면 됩니다. 그렇지만 불편하기 때문에 자동 변속인 D 모드를 놓고 사용합니다. 결론적으로 D는 자동 기어 변속이고 +나 -는 수동 기어 변속입니다.


+와 -의 개념을 이해했다면 주행 중 블랙아이스를 만났거나 그늘진 곳, 다리 내리막길, 교량 연결 부위가 얼어 있는 곳, 터널 입출구, 눈이 많이 와서 도로가 미끄러운 경우 풋브레이크를 밟으면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D에서 바로 -로 스틱봉을 조작하여 기어를 저단으로 내려주면 됩니다. 물론 급박한 상황에서 살짝살짝 풋브레이클 밟을 수 있지만 잘못하면 미끄러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미끄럼 사고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 한적한 곳에서 조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설명만 듣고도 몇 번 조작해 보면 바로 이해되고 터득이 될 것입니다. 이상으로 겨울철 차량 예열과 공회전 히터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엔진브레이크 사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